‘서세모 클리닉’병원장 재직시에는 매주 수요일 오후, 토요일 오전은 한인들만 전문적으로 진료했고, 무의탁 한인들은 료로 돌봐줬다. 무료 건강 세미나와 건강 교실 등도 열어 한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있도록 했다.

 

박사는 의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았다. 1966년부터 토론토대학 어린이병원연구소에서 ‘칼슘과 마그네슘 대사와 관계되는 각종 호르몬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1972 토론토대학에서 생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하와이 대학교 의대 교수로 재직시 슈라이너 어린이병원에 골미네랄 연구실험실을 설치해 ‘칼슘과 마그네슘 대사와 연관된 호르몬 각종 골대사 질환’에 대한 원인 규명과 치료 방법을 연구했다. 한국 정형외과에서 골다공증 치료의 선구자인 장준섭 연세의대 명예교수 한국의 명의들이 서세모 박사를 사사(師事) 있다.

 

  박사는 자신이 평생 수집한 의학서적 1 500 권을 포천중문 의과대학교에 기증하고, 본인의 모교인 연세 세브란스병원에 상당액을 기부하며 후학 양성에 기여했다.

 

  그는 별세 시신을 하와이대학교 의과대학에 의학 실험용으로 기증하며 의학교육을 위해 숭고한 희생을 했다.

 

박사는 1972~1974 일본 오키나와에 파견돼 미국식 임상 의학을 일본 의학도에게 전수했고, 일본 소아과학회 총회에서 한국인 의사로서는 처음 강의하는 동서양 의학 교류에도 헌했다.

 

  1970년대 가와사키 질병이 일본에서 발병하자 가와사키 의사를 와이에 초청해 함께 연구하는 하와이가 미국에서 가와사키 질병을 연구하는 중심지가 있도록 발판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