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당시 한국과 구소련은 국교가 수립되지 않아 우편을 통한 서신 왕래가 불가능했다. 이에 박 전 회장은 일본에서 사할린 동포들의 편지를 받아 이를 다시 한국에 사는 장남 박창규 씨에게 보내 가족들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생사 확인, 가족의 근황, 귀환 희망 등의 내용이 담겨 있는 이들 편지 한 통 한 통이 기적 같은 소식이었다.
ㅇ 사할린 동포들 사이에서 “박노학에게 부탁하면 가족을 찾아준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편지의 숫자는 급격히 늘어났고, 30여년 동안 박 전 회장 부자(父子)가 전달한 편지는 3만 여통에 달한다.
□ 박 전 회장은 또한 1960년대 중반부터 사할린 동포들의 국적·지역·귀국 희망 형태 등을 기록한 이른바‘박노학 명부’를 만들었다.
ㅇ 약 7천명이 수록된 이 명부는 사할린 동포의 귀환 의지를 공식적으로 집계한 최초의 기록물로, 한국과 일본, 구소련 3국의 사할린 동포 관련 외교 협상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됐다.
ㅇ 또한 이 명부는 사할린 동포의 존재를 세상에 알린 역사적 사료이자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 대상자 등을 우선적으로 선별하고 입증하는 기준이 됐다.
□ 그는 사할린 동포의 귀환이 어려운 상황에서 우선 고국의 가족과 상봉을 위해 일본 정관계 등 인사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등 다방면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ㅇ 일본의 정치인 등과 협력해 구소련 당국을 설득했고, 1984년 사할린 동포 10명의 일본 방문과 가족 상봉을 최초로 성사시켰다. 이는 전후(戰後) 최초의 사할린 동포 공식 출국으로 귀환 운동의 물꼬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