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5. 7. 15.(화) 00:00 | 배포 | 2025. 7. 10.(목) 10:00 |
※ 엠바고 시간을 준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재외동포청, 7월 ‘이달의 재외동포’에 ‘사할린 동포 귀환운동의 선구자‘ 박노학 선정 - 일본서 사할린 귀환 운동…7천여명 수록된 ‘박노학 명부’로 사할린 동포 존재 알려 - 편지 중개, 가족 상봉 주선 등 인도적 교류에 앞장...영주귀국 제도화 초석 마련 - 이상덕 청장 “사할린 동포 역사의 한획”…정부, 국민훈장 동백장 수여 |
□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이 2025년 7월‘이달의 재외동포’로, 사할린 동포의 귀환운동을 주도하고 이산가족 상봉 실현에 헌신한 박노학(1914~1988년) 전 사할린억류귀환한국인회 회장을 선정했다.
※ 재외동포청은 대한민국 발전 또는 거주국 내 한인 위상 제고에 기여한 동포를 발굴해 매월 ‘이달의 재외동포’로 선정‧발표하고 있다. (3월 김평진(1926~2007) 전 재일제주개발협회장, 4월 홍명기(1934~2021) 전 M&L Hong 재단 이사장, 5월 임천택(1903~1985) 독립운동 지사, 6월 박병헌(1928~2011) 전 재일민단 단장)
□ 1914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인 1943년 사할린으로 강제 동원된 박노학 전 회장은 1945년 해방 후에도 무국적 상태로 사할린에서 억류된 상태로 생활을 이어갔다. 그러다 일본인과 결혼해 1958년 일본으로 귀환해 사할린 동포들의 존재를 알리고 이들의 고국 귀환을 촉구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ㅇ 박 전 회장은 일본 정착 후 자신의 단칸방을 사무실 삼아 귀환운동단체인‘화태(사할린) 억류귀환한국인회’를 창설했다. 막노동을 해서 번 돈으로 탄원서와 진정서를 작성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기관에 제출하는 등 사할린 동포의 귀환 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 그는 가족과 연락이 끊긴 채 오랜 세월을 살아야 했던 동포들을 위해 그들이 사할린에서 써서 보낸 편지를 한국 가족에게 전달하는 ‘우편배달부’ 역할을 자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