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5 이달의 재외동포 (임천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임천택.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5pixel, 세로 178pixel

임천택 (1903.3. ~ 1985.9.)

독립운동가

 

임천택은 1903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2살 때인 1905년 어머니 등에 업혀 멕시코 유카탄 반도로 이민했다. 멕시코 에네켄(용설란(舌蘭)과의 식물) 농장의 혹독한 환경 속에서 성장했고, 18살때인 1921년 멕시코 혁명으로 경제 상황이 악화하자 300여 명의 한인과 함께 쿠바로 다시 이주했다. 이후 쿠바 마탄사스 지역에 정착해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조국의 독립을 위한 활동에 헌신했다.

 

1. 대한인국민회 등 독립운동 단체 활동

1921년 쿠바 주재 일본 영사관이 한인들에게 일본인으로 재외국민 등록을 요구하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한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에서 서기로 활동을 시작하며 독립운동의 최전선에 섰다. 이후 총무, 회장, 고문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아 대한인국민회 활동을 이끌었고,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접촉해 독립운동 자금 제공과 쿠바 한인 소식 전파에 나섰다.

 

특히 1941년 진주만 사건이 터지자 한인의 광복 의지 및 일본인들과의 차별성을 대외적으로 천명하기 위해 쿠바 내 3개 국민회 지방회를 대표하는 11인 중 한 명으로 ‘재큐한족연합외교회’ 결성을 주도했고, 1943년에는 3개 지방회를 통합한 ‘재큐한족단’을 창립해 조국 독립을 위한 조직적 활동을 강화했다. 또 독립자금 모금, 국제 선전 활동 등에도 적극 나섰다.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개시하자 참전을 고려하는 쿠바 정부에 한인들과 공동 항일전선 구축을 설득하는 등 쿠바 한인사회를 항일운동의 중요한 거점으로 만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