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기본계획 내용 중에서도 특히 ▴한국 발전상 널리 알리기를 통한 차세대 동포 정체성 강화 및 거주국에서의 지위 향상 지원 ▴700만 한인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대한민국과 재외동포사회의 상생발전을 핵심 목표로 제시하였다.
ㅇ 이어 제1차 기본계획을 통해 향후 5년의 정책 방향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정책 효과가 재외동포들의 피부로 와닿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협조를 당부하였다.
□ 제1차 기본계획은 재외동포기본법에 근거하여 마련되는 범정부 차원의 5개년 종합계획으로, ‘지구촌 한민족 공동체 구축’이라는 국정과제에 따라 재외동포 보호·지원 정책을 확대·강화하고 재외동포사회와 대한민국의 공동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ㅇ 이 계획에는 급변하는 국·내외 정책 환경속에서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 실현을 위해 전 세계 재외동포는 국가적 자산이자 경쟁력이므로, 국가와 동포사회가 서로를 지원하는 상생발전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다양한 동포사회 특성과 현안을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ㅇ 이에 따라 ▴재외동포정책 강화체계 확립 ▴재외동포 정체성 함양 ▴국격에 걸맞은 동포 보호·지원 강화 ▴한인 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중추국가 실현에 기여하는 동포 정책이라는 5가지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하위 14개 중점과제를 마련하여 정책방향을 세분화하였다.
□ 이 날 회의에서는 국내체류동포에 대한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는 인구 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동포정책을 추진하고, 사할린동포와 같이 강제징용 등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재외동포들에 대한 포용적 동포정책을 지속해나가자는 논의도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