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
|
1 재외동포 사회 변화에 따른 다양한 정책 수요 증가
o 재외동포 세대교체로 인해 차세대가 주류로 등장하면서 한인 정체성 강화 정책 수요 증가
- 특히, 차세대 재외동포의 정체성 약화에 적극 대응 필요성 제기
o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거주국 주류사회 진출 및 영향력을 보유한 재외동포 증가
o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재해 빈발, 미중 대립, 러‧우 전쟁, 가자 사태, 혐오범죄 증가 등 복합 다중위기로 정주 환경이 악화된 동포사회 증가
2 우리 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
o 저출생과 생산연령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경제·사회 역동성 저하,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 필요
* 생산연령 인구(15세-64세, 전년대비) 증감 : (2021년) △14만1천명, (2023년) △27만7천명
o 또한, 전세계적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해외시장 개척 지원 필요성 대두
3 국내체류 동포 확대로 인한 관련 정책 수요 증가
o 한국의 선진국 진입 및 생활여건 개선 등으로 귀환 재외동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체류 동포에 대한 정책적 수요 증가
* 2020년 81만 → 2021년 78만 → 2022년 80만명 → 2023년 85만명 → 2024년 8월 86만명
o 다만, 우리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는 여전히 높지 않은 수준
* 재외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조사 결과(2023년) : 조선족 (부정 43.6%, 보통 36.7%, 긍정 19.7%) / 고려인 (부정 20.1%, 보통 50.6%, 긍정 29.3%)